닫기 국가고용정보시스템 업무구조도 확대 이미지
주요사업
국가고용정보시스템
연구성과
열린경영
알림마당
기관소개
닫기
메뉴 닫기

한국고용정보원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웹사이트 로고

이 웹사이트는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웹사이트 입니다.

한국고용정보원

닫기
통합검색 영역

전체메뉴

검색단어

검색대상

기간별

-

연구성과

일과 사람을 이어주는 선도기관,
한국고용정보원의 사업을 소개합니다.

다양한 일자리 정책을 통해 좋은 일자리 창출을 지원합니다.

고용동향브리프

(서체꺰)2020고용동향브리프-10호(내지).pdf_page_02.jpg
고용동향브리프 2020년 10호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제조업 고용 동향 분석
PDF 다운받기
디지털 노동자의 계층화와 노동시장 이행 정보 테이블
저자 김수현 조회수 204
게시일 2020년 12월 31일 다운로드 729회
주제/대상 고용정보분석/공통 키워드 고용보험 코로나19 제조업 경제활동인구조사 취업자
목차

01. 서론

02. 코로나19 확산 전후 제조업 취업자 수 변동 양상

03. 주요 제조 업종 고용 변동 양상

04. 결론

요약

■ 2020년 제조업 취업자 수 변동 양상을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남성보다는 여성 취업자가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이 컸던 것으로 나타남
-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연령대에서는 취업자가 증가했지만 다른 연령대에서는 취업자가 감소했으며 상대적으로 청년층 일자리가 많이 줄어들었음
-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직과 일용직 취업자 감소폭이 컸음
- 사업체 규모별로는 30인 이상 100인 미만 사업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코로나19 확산 국면에서 고용 감소를 경험했으며 상대적으로 30인 미만 사업체 취업자가 많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됨

■ 제조업 일자리 전반에 코로나19가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고용이 불안정한 일자리 취업자가 코로나19로 더 큰 충격을 받은 것으로 확인됨
- 인구 구조적 특성으로 보면 여성 일자리, 청년층 일자리 취업자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실직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었을 것임
- 상대적으로 고용이 안정적인 상용직에 비해 임시직, 일용직 일자리가, 대규모 사업체보다는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 일자리에서 일하는 취업자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충격에 더욱 취약했던 것으로 파악됨

■ 고용 취약계층, 고용이 불안정한 일자리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대응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
- 코로나19 확산으로 일자리를 잃은 고용 취약계층, 고용이 불안정한 일자리 취업자 중 상당수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실직으로 생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 코로나19 확산으로 일자리를 잃은 취업자의 생계를 지원하고 이들이 다시 노동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이 필요
- 코로나19 확산세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일자리를 잃을 위험에 처함 취업자를 찾아 이들이 노동시장에 곗고해서 일할 수 있도록 돕는 적극적인 정책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장기적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충격에 대비할 수 있는 고용 안전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기존의 고용보험 안전망을 더욱 확대시키고 강화하는 한편, 고용보험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을 파악하고 이들을 보호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임

■ 주요 제조 업종별 고용 변동 양상에 대한 분석에서는 반도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제조 업종에서 최근 고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고용보험 피보험자 DB를 이용한 분석에 따르면 반도체 업종은 최근 고용이 증가
- 하지만 기계, 조선, 전자, 섬유, 철강, 자동차 업종은 전년동월 대비 고용이 감소. 이와 같은 주력 제조업의 고용 감소와 함께 전체 제조업 취업자가 2020년 들어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
- 이 중 기계, 전자, 섬유 등의 업종은 최근 고용 감소세가 다소 완화된 반면, 조선, 철강 업종은 고용이 여전히 감소세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이와 같은 주요 제조 업종의 고용 감소는 2020년 이전부터 지속되었던 해당 제조 업종의 경기 침체도 영향을 미쳤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수출과 생산의 위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됨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주요 업종의 고용 감소는 상대적으로 단기적 측면의 영향일 것으로 판단됨
- 하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 Autor and Reynolds(2020) 등의 주장처럼 자동화 등과 관련된 기술 도입 수준과 속도에 코로나19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임
- 주요 제조 업종과 관련해 이와 같은 변화는 일자리에서의 노동력 대체를 가져오는 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측면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변화를 면밀히 고찰할 필요가 있음

김수현의 다른보고서
다른 보고서 보기 표로 순서,구분,보고서명,저자,발행일,다운로드수,다운로드를 안내합니다.
순서 구분 보고서명 저자 발행일 다운로드수 다운로드
49 연구사업보고서 김수현 외 4 명 2024-09-30 12
48 연구사업보고서 김수현 외 1 명 2024-09-09 59
47 연구사업보고서 김수현 외 7 명 2024-09-09 180
46 산업일자리 전환 지도 김수현 외 4 명 2024-07-02 313
45 연구사업보고서 김수현 외 4 명 2024-05-02 232
연관 보고서 (고용정보분석)
연관 보고서 보기 표로 순서,구분,보고서명,저자,발행일,다운로드수,다운로드를 안내합니다.
순서 구분 보고서명 저자 게시일 다운로드수 다운로드
1107 연구사업보고서 김두순 외 6 명 2024-09-30 53
1106 연구사업보고서 김경희 외 4 명 2024-09-27 36
1105 연구사업보고서 김경희 외 3 명 2024-09-04 87
1104 고용동향브리프 윤정혜 2024-09-03 40
1103 고용동향브리프 윤정혜 2024-09-03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