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사람을 이어주는 선도기관,
한국고용정보원의 사업을 소개합니다.
다양한 일자리 정책을 통해 좋은 일자리 창출을 지원합니다.
고용동향브리프
-
청년패널조사로 본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의 청년인구 유출과 유입
- 들어가며 - 지역별 청년인구 및 청년 취업자 분포 추이 - 지역간 청년인구 유출입 현황 및 특징 - 요약 및 시사점
고용동향브리프 I 2024-11-01 -
청년패널2021 2차(2022) 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청년패널 조사는 2001년 만 15~29세에 해당하는 청년층 약 8천 명을 대상 으로 하는 청년패널2001(Youth Panel, YP2001)을 시작하여 2006년에 마지막 추적조사를 진행한 후 종료하였다. 2007년에는 새롭게 만 15~29세 청년층 1만 명을 대상으로 청년패널2007 코호트(YP2007)를 신규 구축하였다. 추적이 진행 되면서 빈 연령층에 관한 표본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청년패널2007의 경우 2015년에 ...
연구사업보고서 I 2024-10-25 -
20대 청년세대의 취업 특성과 변화
- 들어가며 - 20대 청년 노동시장 동향 및 특징 - 20대 청년층의 첫 일자리 취업 특성 - 20대 청년층의 현재 일자리 직업 특성과 변화 - 요약 및 시사점
고용동향브리프 I 2024-07-25 -
고용통계조사 인덱스 북(2022)
한국고용정보원에서는 현실 노동시장을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청년층, 대졸자, 고령층에 대한 패널 및 횡단 표본을 구축하여 추적 조사하고 있으며, 해당 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조사별 대표적 지표들을 도출하고 지수를 산출하여 노동시장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18년부터 고용통계조사 인덱스 북을 발간하고 있습 ...
연구사업보고서 I 2023-07-13 -
청년패널2021 1차(2021) 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청년패널2021은 기존 청년패널2007의 장기추적에 따른 연령 노후화 문제를 극복하고자 2021년 새로운 코호트를 대상으로 기획된 신규조사입니다. 기존의 만 15~29세였던 조사대상의 연령 범위를 추적조사의 필요성이 높은 노동시장 진입 전후 시점인 20대로 좁히고, 유효 표본 수 확보를 위해 표본 규모를 늘리는 방향으로 기획되어 2021년 기준 만 19~28세 청년층 12,213명을 신규 표 ...
연구사업보고서 I 2023-07-06 -
청년패널2007 14차(2020) 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이 보고서는 2007년에 만 15~29세 사이의 청년층 10,206명(’19년 기준 만 27~41세)의 원표본과 2015년에 새롭게 충원된 청년층 3,516명(’19년 기준 만 19~26세)의 추가표본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0년(만 20~42세)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학생들의 학교생활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school-to-work) 이행 과정을 파악하고, 취업과정에서 경험하는 구직활동, ...
연구사업보고서 I 2022-04-15 -
청년층 저임금근로자의 노동시장특성 및 지속성 분석
청년층 저임금근로자의 노동시장특성 및 지속성 분석
고용이슈 I 2021-10-29 -
고용통계조사 인덱스 북 2018
담고 있다. 세부 지표들은 각 조사별로 내용을 구분하고 있는데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로 보는 대졸 노동시장, 청년패널조사(YP)로 보는 청년층 노동시장, 고령화연구패널(KLoSA)로 보는 중장년 노동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연구사업보고서 I 2019-10-02 -
이슈분석1 늘어나고 있는 청년 자영업자
청년패널조사(YP2007) 직업력 자료를 이용해 20~30대 청년 자영업자의 인구학적 특성, 자영업 사업체의 특성, 자영업의 지속기간 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청년 자영업자의 30.1%는 1년 미만, 25.2%는 1~2년 미만의 지속기간을 보이고 있으며, 4년 이상 장기적으로 자영업을 유지하는 비율은 21.8%로 나타나고 있다. 평균 지속기간은 31개월로 대략 2년 7개월의 자영 업 유지율을 보이고 ...
고용이슈 I 2017-09-30 -
이슈분석1_청년층 노동시장의 미스매치와 직장이동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2007 2~9차) 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층 노동시장에서 발생되는 미스매치의 현상을 살펴보고, 그 규모와 추이,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직장이동 경험이 있는 취업자들을 대상으로 미스매치 현상이 어떠한 형태로 변화하는지 특정시점(t)을 기준으로 2년(t+2) 및 5년(t+5) 단위로 추적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스매치 중 학력과잉과 ...
고용이슈 I 2017-08-30